책소개
법가의 대표적인 사상가 한비자의 사상과 책 『한비자』를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법가는 유가, 도가, 묵가 등과 더불어 중국 고대사상의 한 영역을 점유하고 있는데, 학파로서 이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특징이 무엇인지 말하기가 쉽지 않다. 이들이 말하는 법(法)의 개념은 오늘날의 '법'과는 다르며, 일부는 유가의 도덕규범과 겹치고, 일부는 도가의 내용과 중복된다. 이처럼 딱히 정의를 내리기 어려운 것이 법가지만 그 나름의 의미가 있다. 법가가 성행하였던 중국의 서북쪽은 사막 기후에 가깝고 물산이 풍성하지 못한 곳이다. 그에 따라 법가의 철학 역시 공격적이고 차가운 구조를 띄며 살아남는 일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들의 조직력과 추진력, 그리고 강인한 정신력은 오늘날의 지도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저자소개
1948년 전남 목포 출생으로,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철학 및 조선성리학을 연구하여 석사 및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탈리아 동방학대학(Napoli) 아시아학과 계약교수와 중국 산똥(山東)사회과학원(濟南) 유학연구소 객원교수, 중국 산∼시(陝西)사범대학(西安) 중국사상문화연구소 방문학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Berkeley) 중국학연구소 방문학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명예 교수이다.
『율곡 철학의 이해』(1995), 『이율곡, 그 삶의 모습』(2000), 『한국사상과 종교 15강』(2007), 『실사구시로 읽는 주역』(2009), 『신편 중국철학사』(2009), 『중국 불교와 도교 수행자를 찾아서』(역서, 2009), 『중국철학과 종교의 탐구』(2012), 『《한비자》 읽기』(2012), 『중국 철학의 문제들』(2013) 외에 다수의 저술과 논문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전 론 중국 고대 사상 개요
― 사마담의 6가 요지
제1장 한비는 어떤 사람인가?
제2장 [한비자]는 어떤 책인가?
제3장 한비에게 영향을 준 법가의 선구자들
1. 관중
2 .신도와 신불해
(1) 신도의 ‘세’ 이론
(2) 신불해의 ‘술’ 이론
3. 상앙
(1) 인물과 세계관
(2) 변법 실시와 평가
제4장 한비에게 영향을 미친 황로 도교
― 한대 황로 도교의 유행을 놓고 유추함
1. 황로 도교란 무엇인가?
2. 황로 도교의 유행과 발전
제5장 한비의 철학사상
― 도와 덕 개념을 중심으로
제6장 한비의 윤리사상
― 인성을 중심으로
제7장 한비의 역사관
제8장 한비의 법치사상 내역
1. 법의 기본정신
2. 세론
― 용은 구름을 타고, 뱀은 안개 속에 노닌다
3. 술론
― 군주는 마음을 열지 않고 은밀하게 신하를 통제한다
제9장 한비의 노자 [도덕경] 이해
― [한비자] 해로편, 유로편
후 론 법가사상의 실천적 국면
― 진시황의 고대 중국 통일
주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