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제중원 뿌리논쟁
- 저자
- 여인석,신규환 공저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16-12-22
- 등록일
- 2017-08-24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39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우리나라 근대의학사의 ‘뿌리’인 제중원 계승을 둘러싼 ‘제중원 뿌리논쟁’
그 배경과 경과과정, 논점 그리고 미해결 과제를 정리하다
올해는 제중원이 창립된 지 130년이 되는 해다. 그런데 1885년에 세워진 이 기관이 지금 도 현재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 때때로 언론에 등장한다. 그 이유는 이른바 ‘제중원 뿌리논쟁’ 때문이다. 제중원 뿌리논쟁은 그간 누구나 세브란스의 기원이라고 여기던 제중원을, 그것이 한때 조선 정부 소속 기관이었다는 이유를 들어, 서울대 의대가 자신들의 기원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책은 1970년대 말에 시작되어 3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제중원 계승을 둘러싸고 벌인 ‘제중원 뿌리논쟁’의 경과와 쟁점을 역사적으로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서울대병원이 제중원을 자신들의 뿌리라고 주장하게 된 배경, 경과, 논점 등을 정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련 사료와 미해결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서울대병원 측의 주장을 하나씩 들면서 이에 대해 ‘검증’해 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독자들은 그동안 복잡한 모습으로 전개된 뿌리논쟁의 본질을 알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프랑스 파리7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의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의학사, 의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동서양 비교의학사, 의학과 철학의 관계이다. 저서로 『의학사상사』(2007), 『한국의학사』(공저, 2012) 등이, 역서로 『히포크라테스 선집』(2011), 『생명과학의 역사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와 합리성』(2010) 등이, 논문으로 「‘주제군징’에 나타난 서양의학이론과 중국과 조선에서의 수용양상」(2012), 『의학의 이데올로기와 합리성』(2010) 등이 있다.
목차
여는 글 | ‘제중원 뿌리논쟁’이란 무엇인가
제중원 뿌리논쟁의 경과
제1기 뿌리논쟁(1978~1998)
제2기 뿌리논쟁(1998~2008)
제3기 뿌리논쟁(2008~현재)
뿌리논쟁의 쟁점에 대한 검증
제중원은 누가 설립했나
제중원은 국립병원이었나
알렌은 고용된 의사였나
제중원의 운영권은 누구에게 계승되었나
제중원은 대한의원으로 통합되었나
서울대병원이 답해야 할 질문들
서울대병원은 ‘국가중앙병원’인가
서울대병원은 왜 일제의 유산을 기념하는가
서울대병원은 조선총독부의원을 계승하는가
서울대병원의 설립주체는 누구인가
닫는 글 | 가공의 ‘기원 만들기’를 넘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