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당나라 고승(高僧) 현장이 한문으로 번역한 『해심밀경(解深密經)』에 대해 원측이 주석을 단 책이다. 신라의 고승으로 당나라로 건너가 유식학의 대가로 이름을 떨쳤던 원측의 저술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작이며, 현재 한문본과 티베트어본으로 번역되어 전해지고 있다. 한국의 사상서 중 전문이 외국어로 번역된 유일한 텍스트이자 티베트불교와 유식사상 이해의 기초자료가 되는 『해심밀경소』는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책은 이러한 『해심밀경소』를 문헌학적·사상사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을 대상으로 새로운 한문 교정본을 제시하고, 그 속에 담겨 있는 원측의 세계관과 사상을 검토하는 과정은 『해심밀경소』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돕는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의 문헌학적 연구
한장(漢藏) 교감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 교정본 : 이종철
1 원측 『해심밀경소』의 텍스트 문제
2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의 새로운 한문 교정본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에 인용된 진제삼장설:후나야마 토오루
1 문제의 소재
2 선행연구 개관
3 각 논쟁에 대한 의견
4 맺음말
제2부 『해심밀경소』 심의식상품의 사상사적 연구
『해심밀경』 심의식설에 대한 원측의 이해: 조윤호
1 머리말
2 『해심밀경』의 심의식설
3 심의식상품 심의식설에 대한 원측의 해석
4 중국 유식불교에서 원측 심식설의 의의
5 맺음말
불교 ‘마음’ 개념의 역사학적 검토-『해심밀경소』의 심의식과 불성을 중심으로: 조경철
1 머리말
2 제8식과 제9식
3 마음의 생성시기
4 마음과 일체성불
5 마음의 역사적 전개·
6 맺음말
도가와 불교의 마음-깨달음의 주체: 김백희
1 머리말
2 도가의 마음: 좌망
3 불교의 마음: 해탈
4 왜 마음에 관심을 갖는가?
5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