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왜 정부를 믿지 않는가
왜 모든 정권의 말로는 이리도 추악한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찾아보면 답은 있다. 21세기 오피니언리더인 청소년들이 읽고 토론하며 가슴깊이 새기길 바라며 제안하는 사회과학도서의 名著. - 현시국의 반만 교사가 되기를 바라며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이처럼 추락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연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저하가 정부의 정책 실패에서만 나오는 것일까? 이러한 현상이 비단 현정부만의 문제인가? 또 우리나라만의 특수 상황인가? 현정권에 대한 불신을 보다 철저하게 이해하려면 먼저 전세계적 추세와 일반적 원인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 책은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 여러 나라에서 정부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관찰한다. 그렇다고 우리나라의 현 혼란상이 세계적인 추세상 당연하다고 합리화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책이 우리 정부의 민심분석에 객관적 틀을 제시하는 역할을 다하여 경제위기와 더불어 오는 국민이탈이라는 사회붕괴의 위기를 정부와 국민이 지혜롭게 대처해 나가는 데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들어가는 말 : 정부에 대한 신뢰 저하/조셉 S. 나이 2세
제1부 정부의 업무영역과 성과
제1장 정부 업무영역의 확장/어니스트 R. 메이
제2장 정부의 성과에 대한 평가/데릭 보크
제3장 잃어버린 은총 :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 상실/개리 R. 오렌
제2부 다양한 설명들
제4장 경제가 정말 문제란 말인가?/로버트 Z. 로렌스
제5장 정부에 대한 불만의 사회문화적인 요인/제인 맨스브리지
제6장 정당들의 양극화와 정부에 대한 불신/데이비드 C. 킹
제7장 불신의 정치학/리처드 E. 노이스타트
제3부 정부 운영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 변화
제8장 미국에서의 태도 변화/로버트 J. 블렌든 외
제9장 후기 물질주의 가치관과 공공기관들의 권위 추락/로널드 잉글하트
제10장 국민들의 신뢰와 일본의 민주주의/수잔 J. 파
결론 : 반성과 전망 그리고 난제들/조셉 S. 나이 2세, 필립 D. 젤리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