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COVID-19 범유행 및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피트니스 산업이 처한 환경, 위기와 기회, 앞으로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다각도로 조명하다!
상명대학교 피트니스 MBA 세 명의 교수진과 피트니스 업계에서 대표, 임원, 전문가로 활동하는 제자들이 함께 피트니스 산업의 미래를 논의한다.
최근 COVID-19 범유행으로 건강관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라이프스타일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피트니스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피트니스’라는 용어의 정의와 개념, 산업으로써의 정체성은 아직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책에서는 먼저 피트니스의 정의와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피트니스가 산업의 모습을 갖추고 발전해온 모습을 역사적 관점에서 소개한다. 또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피트니스 산업의 모습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피트니스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서구 선진국에서 피트니스 산업의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소개한다. 여기서는 주로 피트니스 시대 패러다임 변화와 글로벌 피트니스 산업의 트렌드 변화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피트니스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부록에는 상명대학교 피트니스 MBA 교수진인 최경근 교수, 김성재 교수, 조일형 교수가 이 책의 주제와 관련된 세미나와 포럼에서 발표한 주요 내용을 요약 편집해 실었다. 세 명의 교수진은 COVID-19 범유행 및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피트니스 산업이 처한 환경, 위기와 기회, 앞으로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다각도로 조명하며 토론을 이어간다. 독자들이 급격한 환경 변화를 극복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혜안을 얻을 수 있기를 바라는 제언도 담겨있다.
목차
[1부] 피트니스산업의과거와현재그리고미래
1장 피트니스 산업의 탄생과 발전
01.피트니스란 무엇인가?
02.피트니스의 기원
03. 현대 피트니스의 태동기 - 근대 유럽의 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18세기~19세기)
04.현대 피트니스의 탄생기 - 미국 대공황과 피트니스 산업의 형성(19세기 말~20세기 초)
05.피트니스 산업의 성장 - YMCA의 보디빌딩 보급과 피트니스 클럽의 대중화(20세기 초~ 1970년대)
06.피트니스 산업의 발전 - 피트니스의 다양화와 산업 발전(1980년대~2000년대)
07.피트니스 산업의 진화 - 4차 산업혁명과 피트니스 산업의 진화(2010년대 이후)
?2장 국가 체육 정책과 피트니스
01.국민체육진흥과 피트니스
02.국민체육진흥법, 국민의 체력과 행복 사이
03. 국가부흥의 건강한 체력, 학교체육과 엘리트 스포츠 1.0
04. 2002년 월드컵과 모두의 스포츠, 페스티벌 스포츠 2.0
05. 개성 있는 각자의 피트니스, 행복 스포츠 3.0
06.국가 체육 정책과 피트니스 시장
3장 디지털 전환 시대와 피트니스의 미래
01. 피트니스 산업의 기회와 과제
02. 디지털 전환 시대의 피트니스 4.0
03. 피트니스 4.0 시대 피트니스 산업이 나아갈 길
[2부] 글로벌피트니스트렌드
1장 피트니스 패러다임의 변화
01. 4차 산업혁명과 피트니스 환경 변화
02. AR(증강현실)과 VR(가상현실) 스포츠
03. O2O와 M2O 피트니스
04. 피트니스의 새로운 질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2장 글로벌 피트니스 트렌드
01. Planet Fitness
02. McFit
03. Class Pass
04. Orange theory Fitness
05. 1Rebel
06. Calm
07. F45
08. Peloton
3장 피트니스 4.0 시대 우리의 미래
01. MZ세대와 함께 성장하는 피트니스 산업
02. 피트니스 콘텐츠, 시설 그 이상의 가치
03. 피트니스와 소셜 네트워킹
04. 피트니스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05. Food Court? No, Fitness Court!
[부록]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피트니스 산업 혁신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