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동화 속 심리학을 찾아 떠나는 여행
백설공주와 신데렐라, 개미와 베짱이 등.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교훈을 주는 동화룰 읽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을 것이다. 어릴 때에는 단순히 권선징악이라는 주제만을 받아들이느라 이야기에 대한 분석을 해 볼 시간이 없었지만,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동화 속에서 일어나는 상황들은 모순과 궁금증 투성이다. 『왜 아무도 성냥팔이 소녀를 도와주지 않았을까』는 "왕자는 어떻게 신데렐라는 처음 보고 청혼 할 수 있었을까?", "여우가 두루미에게 납작한 접시를 준 진짜 이유는?" 등 동화책을 읽으면서 한 번쯤 들었던 의문들을 심리학의 관점에서 풀어본 책이다.
우리에게 친근한 고전 세계 동화와 전래 우화는 삶의 다양성과 동일성, 역동성, 이야기의 대중성과 작가의 익명성이 오랜 세월속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더불어 인간의 역설적인 심리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어떤 의미에서 모든 심리학의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도 몰랐던 우리의 숨은 심리를 25편의 동화 속에서 찾아내보는 신선한 컨셉으로, 재미있게 전개되는 동화 본래의 스토리 속에서 선악의 기준이되는 교훈과 함께 숨어있는 심리학의 개념을 찾아 떠나는 또 다른 여행의 시간을 마련해 줄 것이다.
목차
1장 대인관계
백설 공주ㆍ백설 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주었을까?│접촉 위안
사랑에 빠진 사자ㆍ자신의 이빨과 발톱을 뽑은 사자가 과연 어리석기만한 걸까?│사랑
신데렐라ㆍ단지 외모에 반해서 청혼을 하다니!│신체적 매력
부자와 당나귀ㆍ왜 사람들은 아버지와 아들을 안 좋게 평가했을까?│기본적 귀인 오류
못 믿을 선비ㆍ왜 그렇게 황선비는 말을 바꾼 걸까?│반사된 영광효과
2장 사람을 움직이는 설득력
해님 달님ㆍ어머니는 왜 호랑이의 무리한 부탁을 들어주게 되었을까?│문간에 발 들여놓기 기법
박쥐ㆍ박쥐가 했던 설득의 기술은 무엇일까?│닻내림 효과
황새의 판결ㆍ황새는 왜 따오기의 편을 들게 되었을까?│상호성규범
빨간 구두ㆍ카렌은 왜 그토록 빨간 구두를 원했을까?│심리적 반발심
3장 집단 사고(思考)
성냥팔이 소녀ㆍ왜 아무도 성냥팔이 소녀를 도와주지 않았을까?│방관자 효과
벌거벗은 임금님ㆍ왜 다들 벌거벗은 임금님의 옷을 칭찬했을까?│동조
짧아진 바지ㆍ왜 부자의 바지는 그대로였을까?│링겔만 효과
4장 또 다른 자아(自我)
개미와 베짱이ㆍ인내하는 자가 결국 승리한다, 그러나.│만족지연
평강공주와 온달ㆍ바보 온달이 장수가 될 수 있었던 비결은?│피그말리온 효과
인어공주ㆍ인어공주는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았을까?│선택
여우와 두루미ㆍ왜 여우는 두루미에게 납작한 접시를 주었을까? │허구적 합의 효과
5장 세상을 보는 관점
우산장사와 짚신 장사ㆍ할머니의 마음을 바꾸게 해 준 것은?│틀 효과
여우와 신포도ㆍ여우는 왜 맛있어 보이는 포도를 보고 신 포도라 말했을까?│인지 부조화
옷에게 술을 준 선비ㆍ왜 옷에 따라 선비에 대한 태도가 달라졌을까?│고정관념과 편견
현명한 사또 아내ㆍ왜 사또는 그들이 도둑이라고 확신하게 되었을까│확증편향
수탉을 죽인 게으른 일꾼ㆍ왜 일꾼은 수탉을 죽였을까?│착각적 상관
6장 공격성
어부와 마신ㆍ왜 마신은 자신을 구해준 어부를 죽이려 했을까?│좌절- 공격 가설
해와 바람ㆍ바람은 조만간 심장병에 걸리지 않을까?│A유형 행동 패턴
장발장ㆍ‘장발장’과 ‘마들렌’이 정말로 동일인물이라니!│모의 감옥 실험
도둑이 된 소년ㆍ왜 소년은 도둑이 되었을까?│행동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