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군이 세계에 향하여 ‘양위침범(洋圍侵犯), 비전칙화(非戰則和) 주화매국(主和賣國)’이라는 상청목을 뺀 것이 이 시대 공기를 반영한 것이었다. 고종 5년은 일본에서 명치 원년에 당하니, 내로는 왕실과 막부의 갈등과 외로는 아미(我美)·영·불 각국의 침릉(侵陵)을 치르는 중에 오히려 국정의 근대화에 성공하고 여력이 생김에 따라서 대륙으로의 발전을 생각하기에 이르렀다.<본문 중에서>
저자소개
목차
제1장 역사적 인유 제2장 경장의 발족 제3장 제도상 개정 제4장 사회적 혁신 제5장 미완성 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