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방구석 역사여행
- 저자
- 유정호 저
- 출판사
- 믹스커피
- 출판일
- 2020-06-11
- 등록일
- 2020-08-0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3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역사를 알면 여행의 질이 달라진다!학교에서도 안 가르쳐준 생생한 역사지식단지 시험을 잘 보려고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달달 외워본 경험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역사는 ‘죽은 지식’이 될 수밖에 없다. 역사적 현장을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고 생각한다면 우리에게 역사가 조금은 다르게 다가오지 않을까? 이 책은 중·고등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 현직 교사가 쓴 한국 기행문이다. 서울부터 시작해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까지 전국에 숨어 있는 여행지를 다니며 그곳의 소중한 역사와 이야기를 가득 담았다. 해당 여행지의 변천사, 관련 인물과 사건뿐만 아니라 그곳에 얽혀 있는 전설까지 다루었기에 역사를 잘 모르는 사람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수업을 아무리 열심히 들어도 학교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지식이다. 생생하게 ‘살아 있는 지식’을 얻고 싶다면, 또는 좀 더 특별한 여행을 떠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이 책으로 터득한 역사지식을 토대로 여행에서 더욱 의미 있는 추억을 남겨보자.
저자소개
중·고등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 현직 교사이다. 대한민국 학생들이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이 사회의 주역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교단에 서고 있다. 주말에는 카카오브런치에 반드시 기억해야 할 우리의 역사 및 국내 여행지에 관련된 역사 이야기를 올리고 있다. 2018년에 『작은 행복을 담은 여행』을 출간했으며, 『이다지도 확실한 이론완성 한국사 근현대사』 집필진으로 참여하였다. 2019년에는 『족집게 한국사』를 출간했고, 단대신문에 칼럼을 기고했으며, 『하루 1분 역사게임-한국사편』 『하루 1분 역사게임-세계사편』을 감수했다.
목차
지은이의 말 _ 무심코 지나친 동네도 소중한 역사여행지다!1장. 서울평생의 짝을 만나게 해준다는 백불 - 옥천암조선의 시작과 끝은 종묘에 있다 - 종묘권력의 공간에서 시민의 공간으로 - 운현궁가장 많은 상처를 지닌 궁궐 - 경희궁왜 백정 교회라 불렸을까? - 승동교회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 - 경교장사랑을 무소유로 승화시키다 - 길상사2장. 경기도양평 모든 은행나무의 어머니 - 용문사남양주 물과의 깊은 인연 - 수종사파주 한명회의 두 딸이 묻히다 - 삼릉고양 숙종의 여인들 - 서오릉광주 명분과 실리의 기로 - 남한산성과천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쉼터 - 과지초당3장. 강원도춘천 당나라 공주의 슬픈 전설 - 청평사양양 아름다운 동해를 마주하다 - 하조대양양 전통과 역사를 지키려는 노력의 흔적 - 양양향교영월 단종의 마지막 모습을 보다 - 청령포홍천 한글로 간행된 『월인석보』를 간직하다 - 수타사평창 요즘 아이들은 모르는 이승복 어린이 - 이승복기념관4장. 충청도부여 백제의 우수한 문화를 보여주다 - 정림사지괴산 나라에서도 건들지 못한 절대권력 - 화양서원예산 백제의 얼이 담긴 산성 - 임존성진천 아름다운 정원 같은 사찰 - 보탑사진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 - 진천농다리서산 죽음과도 맞바꾼 천주교 신자의 믿음 - 해미 순교성지청주 애틋한 사랑을 나눈 신채호와 박자혜 - 단재 신채호 사당5장. 전라도구례 세상의 중심은 우리다 - 화엄사순천 큰스님을 배출한 승보사찰 - 송광사순천 아픈 역사지만 꼭 보존해야 할 유적지 - 순천왜성남원 선조들이 사랑했던 아름다운 공간 - 광한루전주 기록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는 곳 - 전주사고광양 모두가 좋아하는 김을 최초로 양식하다 - 광양 김시식지군산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 - 동국사6장. 경상도김해 수로왕은 웃고 있을까, 울고 있을까? - 수로왕릉경주 신라가 영원하길 기도하다 - 감은사지 영주 역사, 설화, 자연 무엇도 부족하지 않다 - 부석사영주 사라지는 만큼 채워 넣는 곳 - 무섬마을영주 조선시대 교육의 장 - 소수서원창녕 아름다운 자연과 전설이 만나다 - 우포늪7장. 제주도탐라국 수도를 내려다보다 - 도두봉원시 숲을 보존하다 - 비자림제주도의 고난을 예견하다 - 용머리해안아름다운 전설이 짓밟히다 - 천제연폭포아픔을 감춘 제주도의 비경 - 성산일출봉과 광치기해변하늘과 인간을 이어주는 산 - 한라산노름빚으로 사람이 살게 된 섬 - 마라도참고자료찾아보기